"K-뷰티 게이트웨이"...CJ올리브영, 작년 189개 국적 고객 942만건 결제

작년 외국인 매출 전년비 140% 증가

2025-02-26     신은주 기자
/2025.2.26.CJ올리브영

[포쓰저널=신은주 기자] 올리브영이 'K-뷰티 게이트웨이'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26일 CJ올리브영에 면 지난 한 해 동안 189개 국적의 외국인 고객이 올리브영 매장을 찾아 총 942만 건을 결제했다.

이 기간 외국인 관광객이 찾은 올리브영 매장 수는 1264개로 집계됐다. 전체 매장(1371개, 24년 4분기 기준)의 약 92%에 달하는 수치다. 

올리브영의 지난해 외국인 매출은 직전해 대비 140% 증가했다.

특히 유럽 대륙에 속하는 국가의 매출이 신장세다. 이탈리아와 스페인 국적 고객의 매출은 전년 대비 각각 250%, 226% 늘었다. 프랑스도 184%나 높아졌다. 멕시코, 튀르키예는 각각 400%, 340%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선케어 상품이 매출 상위 10개 품목 중 다섯 자리를 차지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피부암 예방을 위해 자외선 차단제 사용을 권장하며 소비자 인식이 높아진 가운데 가성비 높은 한국산 제품이 입소문을 탔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온라인 검색 트렌드를 살펴보면 관련 상품 키워드인 ‘선블록’과 ‘선스크린’과 더불어 ‘선크림’의 검색량이 최근 5년 새 50%p 가량 늘어난 것으로 알려진다.  

 ‘글래스 스킨’ 등 K-뷰티 트렌드가 구매 양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중국, 일본, 대만 등 인접 국가는 기존 스테디셀러 상품군인 ‘마스크팩’, ‘토너·로션’ 외에도 ‘세럼’, ‘앰플’, ‘에센스’ 등 한국인들이 주로 쓰는 다양한 스킨케어 상품을 함께 구매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코리안 스킨케어 루틴’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세계적으로 확산 중인 한국인 고유의 피부 관리 방식이 하나의 소비 문화로 인식되고 있다고 올리브영 측은 설명했다.

올해도 올리브영은 차별화된 글로벌 상권 전략을 통해 외국인 고객의 쇼핑 만족도 제고에 나설 계획이다. 

외국인 고객 비중이 90% 이상인 ‘명동 타운’의 특화 서비스를 부산, 제주 등 주요 관광지에 위치하는 매장에도 선제적으로 도입한다. 전자라벨을 비롯해 매장 내 안내 서비스, 결제 공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접점에서 외국어 표기를 강화한다. 

외국인 관광객이 선호하는 상품은 ‘K뷰티 나우’, ‘글로벌 핫이슈’ 등 별도의 진열 공간을 마련해 유망 K뷰티 브랜드를 적극 소개한다. 대용량 구매가 많은 일부 복층 매장의 경우 쇼핑 편의성 향상을 위해 캐리어 보관 서비스도 운영한다. 

매장 직원들의 글로벌 역량도 높인다.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자체 어학 교육 프로그램인 ‘G.L.C’(Global Language Course)의 수강 대상 및 외국어 과목을 대폭 확대한다. 고객과의 원활한 의사 소통은 물론, 국적별 고객 니즈에 맞는 상품까지 적극적으로 제안할 수 있는 ‘글로벌 고객 전문가’ 육성에도 나설 예정이다.

귀국 후 K뷰티에 대한 관심이 이어질 수 있도록 ‘올리브영 글로벌몰’ 가입을 돕는 ‘밴딩머신(자판기)’ 설치도 늘려 나갈 방침이다.밴딩머신은  현재 ‘광복 타운’, ‘명동역점’, ‘명동 타운’, ‘삼성 타운’ 등 4개 매장에 도입됐으며 지난해에만 33만 명의 신규 회원을 유치했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올리브영은 한국을 찾아오는 외국인들에게 긍정적인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한편, 새로운 K뷰티 브랜드를 가장 먼저 선보이는 ‘글로벌 K뷰티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고 있다”며 “K뷰티가 K팝과 K푸드와 더불어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 콘텐츠로 자리잡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