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사태] 18명 vs 90명...친윤-친한 완전히 갈라섰다

한동훈 "비상계엄은 위헌..엄중한 책임 물어야"

2024-12-04     이현민 기자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2024년 12월4일 새벽 국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해제 담화와 관련해 입장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사태로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 의원들이 친윤(친 윤석열), 친한(친 한동훈)으로 뚜렷히 양분됐다.

비상계엄 선포 이후 4일 오전 1시경 국회는 계엄령 해제 요구안을 표결에 부쳐 참석자 190명 전원 동의로 가결했다. 

국민의힘 소속 의원 다수는 비상계엄 해제를 위한 본회의 의결에 참여하지 않았다.

표결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은 전체 108명 중 18명이다. 곽규택·김상욱·김성원·김재섭·김용태·김형동·박수민·박정하·박정훈·서범수·신성범·우재준·장동혁·정성국·정연욱·조경태·주진우·한지아 의원으로 모두 친한계다. 

원외인 한 대표는 본회의장에 입장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악수하는 등 야당과 사실상 공동전선을 형성해 계엄 해제 요구안 가결을 견인했다.

친윤계 의원들은 본회의장 출석 자체를 하지 않았다. 이들 중 상당수는 본회의 시점에 국회 앞 당사에 있었다. 추경호 원내대표가 당사로 결집하라고 공지했다.

정작 추 원내대표는 본회의 당시 국회 본청에 있었으나 표결에는 불참했다.

추 원내대표는 “상당수 의원들이 국회로의 진입이 어려웠다"고 뒤늦게 변명했다.

한 대표는 비상계엄 선포 직후 부터 위헌·위법이라고 규정했다.

한 대표는 3일 오후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긴급 공지를 통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는 잘못된 것"이라며 "국민과 함께 (계엄을) 막겠다"고 했다.

국회 본청 진입을 시도하던 계엄군을 향해 "반헌법적 계엄에 동조하고 부역해선 절대 안된다"며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4일 오전 본회의 직후에는 계엄 해제 의결과 관련해 "집권여당으로 대단히 유감"이라며 "이번 국회 결정으로 위헌, 위법한 게엄선포는 실질적 효과를 상실했다"고 했다.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을 향해 "참담한 상황에 대해 직접 소상히 설명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이번 계엄을 논의한 김용현 국방장관을 즉각 해임하는 등 책임 있는 모든 관계자들에게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여권은 윤 대통령에 대한 야권의 탄핵 공세에 대해 탄핵 사유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으나 한 대표의 이번 발언은 윤 대통령의 헌법 위반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향후 야권이 계엄 선포를 이유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경우 여권의 분열 양상은 더욱 심화할 수 있다.

이날 오전 국민의힘 지도부는 긴급 회의를 열고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해제 이후의 대응책을 논의했다.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윤 대통령의 탈당, 내각 총사퇴, 김용현 국방부 장관 해임 등이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은 최고위 회의 종료 뒤 비상 의원총회에서 최종 결론을 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