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분쟁 불씨 '특별성과금'…현대차·기아 "임금교섭 통해 결정"
직원들에 이메일 담화문 통해 발표 "총 성과 보상 관점으로 지급"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그동안 특정 기준없이 지급되던 특별성과금을 올해부터 임금 교섭을 통해 지급하는 것으로 방침을 바꾼다.
현대차의 경우 특별성과금이 2022년과 2023년 성과 보상과 별개로 경영진 재량에 의해 지급되며 노사 갈등의 단초가 되기도 했다.
이에 올해부터는 노조와의 교섭을 통해 애초에 ‘총 성과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23일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 담화문을 통해 "올해는 지난 2년간의 특별성과금 지급 방식을 전환하겠다"며 "총 성과 보상의 관점에서 임금 교섭을 진행하고 이를 최대한 조기에 마무리해 성과에 대한 보상이 빠르게 체감될 수 있도록 노사관계를 바탕으로 성실히 협의·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그동안 매년 노조와 임금 및 단체교섭을 통해 임금 인상과 성과금 지급을 결정해 왔다. 하지만 2022년에는 품질과 안전성 평가에서 성과를 달성하자 이에 따른 특별성과금 400만원을, 지난해에는 글로벌 판매 톱3 달성하며 400만원과 주식 10주를 특별성과금으로 지급했다.
특별성과금이 연간 총 보상과 별개로 인식되면서 직원들 사이에선 혼란이 이는 부작용이 있었다.
현대차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내면서 올해도 특별성과금을 바라는 직원들의 기대가 커진 상황인 점도 이같은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장 사장은 "앞으로도 총 성과 보상을 합리적으로 결정하고 이 결실을 빠르게 나누는 선순환의 흐름을 만들고자 한다"고 말했다.
송호성 기아 사장 역시 이날 임직원 대상 이메일 담화문에서 현대차와 마찬가지로 올해 임금 교섭에서 특별성과금 지급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송 사장은 "지난 2년과 같은 방식의 특별격려금 지급보다는 2024년 단체교섭에서 합리적인 보상이 될 수 있도록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