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3분기 친환경차 판매 16.9만대...전년비 33.3%↑(종합)

:친환경차 시장 높은 성장세 이어갈 것"

2023-10-26     서영길 기자
현대자동차 분기별 실적 추이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현대자동차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3분기 영업이익이 3조8218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46.3% 증가했다고 26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41조27억원으로 8.7%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3조3035억원으로 134% 신장했다.

직전 분기에 비해서는 매출은 3.0%, 영업이익은 9.8%, 순이익은 1.3% 각각 줄었다.

1~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11조6524억원으로 1년전 같은 기간에 비해 80.4% 증가했다.

누적 매출은 121조311억원으로 16.4%, 누적 순이익은 10조697억원으로 60.5% 각각 늘었다.

현대차는 이날 이사회를 열어 분기 배당금을 보통주·우선주 모두 주당 1500원으로 결정했다. 배당 기준일은 9월30일이다.

배당금 총액은 3929억원이다.

현대차는 3분기 영업이익이 판매대수 확대,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 등의 긍정적인 요인과 함께 지난해 3분기 판매보증충당금 설정 등의 기저효과로 전년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주요 시장의 수요 증대로 지속적인 판매 확대 추세가 이어지고 있고 낮은 재고 수준 및 신형 싼타페 등 신차 효과를 바탕으로 올해 연간 판매 증가가 예상된다”며 “다만 중동 지역 지정학적 리스크와 높은 금리 수준 등 대외 거시경제의 변동 가능성으로 인한 불확실한 경영환경이 지속될 전망이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3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차량 104만5510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동기와 비교해 2.0% 증가한 수치다.

국내 시장에서는 8월 새로 출시한 ‘디 올 뉴 싼타페’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인 반응과 함께 스포츠유틸리티 차량(SUV) 중심의 판매 증대로 전년동기 대비 2.8% 증가한 16만6969대가 판매됐다.

해외 시장에서는 부품 수급 상황 개선에 따른 생산 증가와 함께 북미, 유럽, 인도 등 주요 시장 판매 호조로 전년 동기보다 1.9% 늘어난 87만8541대가 팔렸다.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대수는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와 전용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판매 확대로 전년동기 대비 33.3% 증가한 16만8953대를 기록했다.

판매대수 증가, 제네시스, SUV 중심의 판매 믹스 개선 등으로 매출액이 늘었다.

3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은 전년동기 대비 2.0% 하락한 1311원을 기록했다.

매출 원가율은 전년동기 대비 1.1%포인트(p) 낮아진 79.4%를 나타냈다. 부품 수급 상황 개선으로 인한 가동률 상승과 원자재 가격 인하로 전년 대비 개선됐다.

판매 관리비는 전년동기 대비 판매보증비용 감소로 줄었다. 매출액 대비 판매 관리비 비율은 전년동기 대비 4.1%p 낮아진 11.3%를 기록했다.

3분기 영업이익은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이익으로, 지난해 판매보증충당금 반영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해 전년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경상이익은 4조6672억원을 기록했다.

1~3분기 누적 판매 대수는 312만7037대다.

현대차는 주요 지역의 수요 확대로 향후 실적이 양호할 것으로 기대했다.

다만 중동 지역 내 국가 간 갈등 등 지정학적 영향 및 인플레이션 확대, 높은 금리 수준에 따른 신흥 지역 위주 수요 위축 우려 등 글로벌 불확실성 지속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환율 변동성 확대와 업체 간 경쟁 심화에 따른 판매 관련 비용 상승이 경영활동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했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주요 국가들의 환경규제 강화 및 친환경 인프라 투자 증가, 친환경차 선호 확대 등에 따라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중심으로 친환경차 시장이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차는 ▲전용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글로벌 인지도 제고, 지속적인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 등을 통한 친환경차 판매 확대 ▲생산 및 판매 최적화를 통한 판매 최대화 ▲제네시스 GV80 부분변경 및 GV80 쿠페 출시 등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을 통한 점유율 확대 및 수익성 방어에 집중할 방침이다.

현대자동차 손익계산서./자료=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 3분기 주요 증감사유 분석표./자료=현대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