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엔지니어링, 벤틀리시스템즈 GDAI 구조공학 부문 우승
[포쓰저널=송신용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은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벤틀리시스템즈 주관 '2023 고잉디지털 인프라 어워드'(GDAI)에서 구조공학 부문 우승을 차지했다고 18일 밝혔다.
GDAI는 인프라 디지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2004년 시작됐다. 첫 시상 이래 지금까지 12개 부문 4700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수상했다. 올해는 51개국 235개 단체에서 300여건의 프로젝트가 출품됐다.
12개의 부문별로 각 3개 회사만이 결선에 진출해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수상식에 초청받았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자체 개발한 '토건 자동화 설계 프로그램'을 구조공학 부문에 출품해 한국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결선에 진출했다.
결선에서는 경쟁사였던 인도의 L&T와 일본의 라이즈 스트럭츄럴 디자인을 제치고 국내기업 최초로 해당 부문에서 우승했다.
일반적으로 GDAI에 출품된 프로젝트는 벤틀리시스템즈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설계와 시공의 결과를 소개하는 방식이 주를 이뤘다.
현대엔지니어링은 벤틀리시스템즈에서 제공하는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활용해 자동화 설계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했다는 점이 차별성을 인정받았다고 설명했다.
벤틀리시스템즈 관계자에 따르면 GDAI에서 자체 개발 프로그램을 소개한 기업은 현대엔지니어링이 최초다.
현대엔지니어링이 출품한 토건 자동화 설계 프로그램은 '파이프랙 자동화 설계 시스템'과 '쉘터 자동화 설계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파이프랙이란 플랜트에서 원료와 생산품 등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배관과 케이블 등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쉘터는 플랜트 사업에서 각종 기계들이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위치하는 철골 구조물로 1층에서 3층 정도 높이의 구조물이다.
파이프랙 자동화 설계 시스템은 AI(인공지능) 기반 설계 자동화 기술이다. 파이프랙이 지지해야 하는 배관이나 케이블 등의 설계 정보와 플랜트가 건설되는 지역의 바람, 지진 하중 등의 정보를 반영해 자동으로 파이프랙 설계를 완성하고 최적화된 부재도 선정한다.
쉘터 자동화 설계 시스템도 밸류 엔지니어링이나 설계 변경으로 인한 변경 사항을 짧은 시간에 반영한다. 자동화를 통해 수많은 모델을 짧은 시간에 만들고 비교함으로써 물량을 최적화하는 장점도 갖췄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쉘터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에 대해 국내와 해외 특허(PCT)를 등록을 완료한 상태다. 파이프랙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도 국내와 해외 특허를 출원해 등록을 앞두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스마트건설기술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 대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것 같아 감회가 새롭다"며 "현대엔지니어링은 앞으로도 자체 기술개발 및 산·학·연 기관과의 업무협약과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더욱 향상된 기술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