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베트남은 최적의 투자처..효율성·안전성 갖춰"
대한상의, 23일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 개최 이재용·정의선·구광모·신동빈 등 기업인 350여 명 참석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23일 “정치·안보적 외풍에서 자유로운 베트남은 ‘효율성’과 ‘안정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최적의 투자처”라고 베트남을 평가했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최 회장은 이날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한-베트남 비즈니스 포럼' 인사말을 통해 “한국 기업들은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찾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포럼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등 350여 명의 기업인이 참석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베트남 팜 밍 찡 총리도 참석해 양국 기업인들을 격려했다.
최 회장은 “2030 부산엑스포는 인류가 직면한 과제를 찾고 해결책을 찾아나가는 솔루션 플랫폼"이라며 "지정학 갈등, 디지털 격차, 기후변화, 식량위기 등과 같은 문제는 한국과 베트남 모두가 직면한 바로 오늘의 문제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가 바로 그 솔루션을 만들어 갈 시작점이 될 수 있다"며 "베트남인들은 젊고, 유능하며, 부지런하다. 항상 배움과 성장에 목 말라 있다. 한국과 베트남의 근본적 접점이 이것"이라고 했다.
최 회장은 "한국과 베트남이 깊은 신뢰 하에서 양국은 물론 인류 공동의 문제를 함께 풀어가길 바란다"며 "기업인이자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미래 성장을 만들어 가는 파트너십의 롤모델이 되길 희망한다"고 했다.
포럼에서는 공급망, 기후변화, 디지털 분야에 대한 협력 방안과 양국의 상생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논의가 이어졌다.
한국 측 연사로 나선 최주호 삼성전자 베트남 복합단지장은 베트남 부품산업 육성 지원 방안에 대해 "한국과 베트남은 각각 공급망 안정화와 산업 경쟁력 제고라는 목표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상생협력 기반을 갖추어 나가고 있다"며 "특히 베트남 전기전자, 기구, 금형 등 부품업체의 공급망 참여를 위해 제조현장 컨설팅, 로컬 전문가 양성, 스마트 공장 구축 등을 지원했다. 향후 베트남 협력기업 발굴 및 업체 경쟁력 제고가속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우리 기업의 공급망 참여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넷제로 및 에너지 미래 협력방안이란 주제로 발제에 나선 박민식 두산에너빌리티 베트남 지점장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베트남 역시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기존 석탄화력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재편을 도모하고 있다"며 "한국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고효율의 해상풍력발전 기술과 화력발전의 수소, 암모니아혼소, 바이오매스 등의 친환경 연료로 전환하는 기술을 통해 베트남의 넷제로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디지털 전환과 핀테크 협력에 대해 발제자로 나선 김형진 신한은행 베트남 퓨처스랩장은 "코로나 위기에서도 8% 이상 빠르게 성장하는 베트남에서 디지털 분야는 플랫폼, 결제 등 관련 부분에서 5개의 유니콘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디지털 시장은 2030년 국내총생산(GDP)의 약 33%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우리 기업은 디지털 고객 확보와 베트남 디지털기업과 협력, 디지털 전용 상품 개발을 통해 지속적으로 저변을 확대하고 있고, 핀테크 분야에서도 스타트업 육성, 한베 교류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상생이 가능한 벤처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국과 베트남은 1992년 수교 이후 꾸준히 교류를 확대해왔다.
베트남은 중국, 미국에 이은 한국의 3대 교역국으로 성장했고 지난해에는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으로 올라섰다.
한국 역시 베트남의 1위 해외직접투자(FDI) 국가로 자리 잡았다.
지난해에는 수교 30주년을 맞아 양국 관계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로 격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