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정부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연구개발 과제 수주
GS건설·카이스트 등 8개 기관과 컨소시엄 구성
[포쓰저널=홍윤기 기자] LG유플러스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의 ‘자율주행 기반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연구개발’ 과제의 주관연구기관으로 협약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은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경찰청 등 4개 부처가 주관한다.
이 사업은 2027년 융합형 레벨 4+ 자율주행차(인프라 및 사회 융합 기술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반 완성을 목표로 하는 연구개발 사업이다.
LG유플러스는 사업 가운데 자율주행 차량을 통해 도로 노면청소, 미세먼지·공기 정화, 방역·소독 등을 수행하는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 과제를 수주했다.
LG유플러스는 2027년까지 약 5년간 주관연구기관 역할을 수행하며 8개 기관이 컨소시엄에 참여했다.
컨소시엄 참여 8개 기관은 △GS건설(노면상태 평가 기술 및 테스트베드 제공) △리텍(도시환경관리 특장차 개발) △라이드플럭스(도로노면청소 차량 플랫폼 기술) △에이스랩(미세먼지·방역 서비스 차량 플랫폼 기술) △스페이스인사이트(돌발상황 검지 기술) △쿠오핀(차량 원격제어 기술) △아주대학교(서비스 평가 기술) △카이스트(배차·경로 최적화 기술) 등이다.
LG유플러스는 ▲5G, V2X(차량~사물 통신) 기반의 차량 데이터· 수집·처리·전송 기술 ▲도시환경관리 서비스에 최적화된 정밀지도 기반 3D 관제시스템 ▲사용자 모바일 앱을 연구·개발을 맡는다.
컨소시엄은 리빙랩(도시 규모 도로인프라 및 실증공간) 기반으로 4만km이상의 서비스 실증에 나설 예정이다.
자율주행 차량 관제 시스템은 WAVE(차량용 고속 무선 통신 표준), C-V2X 노변 기지국(RSU), V2N(차량~네트워크)을 지원하는 5G 기지국을 통해 운용된다.
자율주행 차량에 부착된 5G, WAVE와 C-V2X를 통합한 차량용 단말기(OBU)는 관제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게 된다.
자율주행 5G 통신에는 슈퍼 컴퓨터보다 높은 연산력의 양자컴퓨터로도 해독하기 어려운 양자내성암호(Post Quantum Cryptography) 알고리즘이 적용될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2024년까지 서비스 기술 설계개발을 마무리하고, 2027년까지 리빙랩 도시 기반으로 서비스 운영을 실증하며 성능을 검증해 나갈 계획이다.
이상엽 LG유플러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도시환경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 과제의 주관연구기관으로 선정돼 의미가 크다”며 “특히 도시환경관리는 주로 심야시간에 시행되어 많은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상황으로, 본 연구개발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