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먹통' 최태원·김범수·이해진 등 국감 증인 채택
홍은택, 최수연, 박성하 대표도
[포쓰저널=이현민 기자] 최태원 SK 회장,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 이해진 네이버 GIO(글로벌투자책임자) 등이 SK판교캠퍼스 화재와 이로 인한 카카오·네이버 등 서비스 장애 사태와 관련해 국정감사 증언대에 서게 됐다.
국감에서는 데이터센터(IDC) 화재 한건으로 카카오톡 등 서비스가 장시간 전면적으로 불통된 원인과 대책 놓고 집중적인 질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1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정청래 위원장은 "오늘 오전 열린 전체회의에서 최태원 SK 회장,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 이해진 네이버 GIO 등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종합감사 증인으로 부르는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홍은택 카카오 대표, 최수연 네이버 대표, 박성하 SK C&C 대표도 증인 명단에 올랐다.
24일 예정된 과기정통부 종합감사에서는 카카오 먹통 사태의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이 핵심 쟁점이 될 전망이다.
정청래 위원장은 “24일 증인 심문 범위는 SK C&C 데이터 화재로 인한 카카오 대국민 서비스 장애 관련 문제에 한정한다”고 했다.
앞서 여야는 김범수 의장에 대한 증인 채택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카카오 먹통 사태와 관련해 자세한 설명을 할 수 있는 실무대표급을 증인으로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카카오의 총체적 경영 시스템의 문제를 지적하며 카카오의 실질적 오너인 김 의장을 증인으로 불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이해진 GIO도 부르자고 맞불을 놨으며 민주당은 최태원 회장도 추가해야 한다고 맞받았다.
증인채택을 놓고 여야 간 힘겨루기가 이어지자 정청래 위원장은 “협의가 안될 경우 국회법 52조에 따라 위원장 권한을 행사할 수밖에 없다”며 증인채택 합의를 압박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카카오는 정부와 정치권의 각종 조사와 법·제도적 규제 강화 칼날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카카오 먹통 사태와 관련해 "만약 독점이나 심한 과점 상태에서 시장이 왜곡되거나 더구나 이것이 국가 기반 인프라와 같은 정도를 이루고 있을 때는 국민의 이익을 위해 당연히 제도적으로 국가가 필요한 대응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카카오의 대표 서비스이자 월간 사용자가 4750만 명에 달하는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이 10시간 가까이 전면 중단된 점이 가장 큰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