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2분기 영업익 2.3조 '역대 분기 최대'
매출 19.9조원 순익 1.3조원 1분기 이어 '분기 최대' 기록 경신 "석유제품 수출 물량 급증 등 영향"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SK이노베이션은 2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2조3292억2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18.91% 급증했다고 29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1조3384억7500만원으로 589.77% 급증했다.
매출은 19조9053억1000만원으로 76.89% 늘었다.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 순이익은 모두 역대 분기 최대 기록이다.
앞서 분기 최고치던 1분기 실적(매출 16조2615억800만원, 영업이익 1조6490억7500만원, 순이익 8632억9900만원)을 3개월만에 다시 뛰어넘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지정학적 이슈로 인한 글로벌 에너지 공급 불안과 코로나 엔데믹(풍토병화) 이후 석유제품 수요증가로 정제 마진이 개선되고, 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사업 재고 관련 이익 증가, 설비운영 최적화 등이 손익 개선에 도움이 됐다”며 “무엇보다 올해 석유제품 수출 물량이 크게 증가한 것이 실적 개선의 주요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상반기 석유제품 수출 물량은 6500만 배럴로 전년 대비 41.4% 증가했다. 석유사업을 포함한 SK이노베이션의 화학, 윤활유, 배터리, 배터리소재 사업의 2분기 수출실적은(해외법인 매출액 포함) 전체 매출의 71%를 차지했다.
유가 상승에 따른 원유구매비용 증가로 순운전자본이 증가하고 배터리사업 증설을 위한 시설투자 영향으로 순차입금은 전년 말 대비 1조8710억원 증가한 10조2839억원을 기록했다.
상반기 누적 영업이익은 3조9782억77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48.86%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6조1668억1800만원으로 75.08% 늘었고, 순이익은 2조2017억7400만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사업별 실적의 경우 석유사업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한 공급 차질 우려 및 포스트 코로나 기조 정착으로 인한 수요 회복 기대감으로 정제 마진이 개선되면서 매출 14조161억원, 영업이익 2조2291억원을 달성했다.
화학사업은 매출 2조8928억원, 영업이익 760억원을 기록했다.
납사 가격 하락에 따라 재고 관련 손익 영향 및 고정비가 증가했지만, 수급 상황이 타이트한 파라자일렌 등 아로마틱 계열 중심으로 제품 스프레드가 개선되면서 영업이익이 확대됐다.
윤활유사업 매출은 1조2280억원, 영업이익은 2552억원이다.
기유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유가상승에 따른 윤활유 판가 상승 및 재고 관련 손익 효과 등으로 개선됐다.
석유개발사업은 판매 물량 감소와 광구 운영비 및 일부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매출 3995억원, 영업이익 1662억원을 기록했다.
배터리사업 3266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판매물량 감소 및 유럽지역 동력비 증가 등으로 인해 적자 폭이 증가했다.
매출은 1조2880억원으로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일부 판매물량 감소에도 신규 공장 가동 및 판매 단가 상승 등으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소재사업은 판매량의 소폭 증가에도 불구하고, 유틸리티 비용 등 운영비용 상승으로 인해 손실폭이 증가해 13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매출은 621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