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복합쇼핑몰' 공약한 윤석열..신세계 정용진 웃을까

2022-03-10     서영길 기자
광주 신세계백화점/사진=신세계백화점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20대 대통령 선거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신승으로 마무리된 가운데 선거운동 과정에서 윤 당선인이 언급한 광주광역시 복합쇼핑몰 이슈에 유통가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전국 광역시 가운데 복합쇼핑몰과 프리미엄 아웃렛, 창고형 대형 매장이 없는 곳은 광주가 유일하다.

이런 상황에서 윤 당선인은 지난달 16일 광주 송정매일시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광주 시민들은 복합쇼핑몰을 간절히 바라고 있지만 민주당이 반대해 무산됐다”며 광주 복판에 복합쇼핑몰을 유치하겠다고 공언했다.

유통업계에서는 광주를 쇼핑 수요와 구매력이 뒷받침되는 매력적인 상권으로 꼽는다.

지난해 신세계백화점 광주점 매출은 전년대비 15.4% 증가한 7652억원으로, 전체 백화점 중 12위를 차지했다.

롯데마트가 1월 광주 상무점을 창고형 할인점 맥스로 전환하자 개점 한 달 만에 매출은 이전보다 3배, 고객 수는 4배 이상 급증했다.

그동안 신세계그룹은 복합쇼핑몰 건설 등을 추진했지만 유통규제와 소상공인·시민단체 반발에 부딪쳐 번번히 무산됐다.

복합쇼핑몰이 들어서면 토착 상권이 초토화될 수 있다는 반발이 거셌다.

하지만 윤 당선인이 복합쇼핑몰 건립을 공약으로 내건 만큼 이를 본격 추진한다면 기존 광주에 복합쇼핑몰 추진 이력이 있는 신세계에겐 호재로 이어질 수 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광주에 스타필드 등의 복합쇼핑몰을 짓기 위해 공을 들여온 것으로 알려져있다.

신세계그룹은 2015년 광주 서구 화정동 광주신세계 주변 부지 2만6600㎡를 확보해 대형 복합쇼핑몰을 추진하려다 당시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가 개발 백지화 요구에 나서면서 개발 계획을 중단했다.

이마트 역시 2010년 북구 매곡동에 추가 출점에 나섰다가 지방자치단체와 소송전을 벌인 끝에 계획을 접었다.

이마트는 2019년에는 자체브랜드(PB)인 노브랜드 매장을 남광주시장에 내려다 시장 상인회의 반대로 결국 출점을 포기했다.

대선을 앞두고 정 부회장이 보수색을 드러내며 윤 당선인과 공감대를 형성한 것도 사업 추진에 플러스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정 부회장은 1월 인스타그램에 ‘#멸공’ 해시태그를 붙인 게시글을 잇따라 올리며 논란이 됐다.

그러자 윤 후보는 며칠 뒤 정 부회장이 운영하는 이마트를 찾아 멸치와 콩을 구입하는 사진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멸치+콩=멸공’이라는 추측이 나오며 윤 당선인과 정 부회장이 ‘정치적 유대감’을 형성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신세계그룹은 말을 아끼고 있다. 정치적 이슈에 휘말리는 게 부담스러운 데다 사업비가 수천억원에서 조 단위로 들어가는 복합쇼핑몰 개발을 다시 추진하는 게 쉽지 않아서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이전에 복합쇼핑몰 사업이 무산된 이후 현재 광주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나 계획은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현재로서는 스타필드의 경우 조 단위의 사업이다 보니 광주 지역 사업 추진 여부에 언급이 조심스럽다”고 했다.

여기에 복합쇼핑몰 유치 인허가권자가 지자체여서 민주당 텃밭인 광주에서 윤 당선인의 공약이 뜻대로 이뤄질 지는 미지수다.

윤 당선인이 복합쇼핑몰 이슈를 들고나오며 수면 위로 함께 올라온 대형 유통 기업 규제 정책에 대한 변화도 주목된다.

코로나19로 온라인 소비가 부상하면서 대형 유통 기업을 규제한다고 소비자들이 골목 상권이나 전통 시장에 가지는 않는다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유통업계의 대표적인 규제로는 대형마트 의무휴업일과 영업시간 제한이 꼽힌다.

유통산업발전법 12조는 대규모점포에 대해 지자체장이 오전 0시부터 오전 10시까지 범위에서 영업시간을 제한하고 매월 2일씩을 의무휴업일로 지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영업시간 제한으로 대형마트들은 점포를 이용한 새벽 배송을 할 수 없고 의무휴업일에는 일반 배송도 불가능해 쿠팡이나 마켓컬리 등 온라인 장보기 쇼핑몰에 비해 역차별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