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경영화두 'ESG', 대학강좌로 개설

연세대∙강원대에 사회적 가치 추구 교양과정 개설 SK 임직원이 교수진으로 ESG경영 비즈니스 적용사례 소개

2022-03-06     박소연 기자
4일 연세대 학생들이 SK그룹이 개설한 ‘기업의 사회적 가치와 사회혁신’ 개강수업에 참석해 교과과정에 대해 안내받고 있다./사진=SK

 

[포쓰저널] SK그룹 최태원 회장이 수년 전부터 강조하면서 SK 핵심 아젠다로 자리잡은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경영이 대학의 정식 교양수업으로 개설됐다. 

SK그룹은 사내 구성원 교육 플랫폼인 '써니'(mySUNI)가 올해 1학기부터 사회적 가치(SV)와 ESG를 소개하는 교육 과정을 연세대와 강원대에 각각 개설했다고 6일 밝혔다.

이들 대학에서 진행될 커리큘럼은 SK그룹이 실제 경영현장에 적용한 사례는 물론 해외 유수한 기업들의 사례까지 담았다. 특히 이번 과정의 모든 강사진은 SK그룹의 임원과 실무진으로 구성돼 기업 현장의 생생한 스토리를 전달할 예정이다.

연세대는 ‘기업의 사회적 가치와 사회혁신’이란 강좌명으로 기업들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게 된 배경부터 기업들이 사회적 가치를 실제 비즈니스에 어떻게 접목하고 있는 지 등을 다룰 예정이다. 올해 신설된 과정임에도 200여명이 수강을 신청할 만큼 인기가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연세대학교 고등교육혁신원 장용석 원장은 “학부생들이 기업의 현장을 간접 경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더 많은 학생들이 사회 문제에 공감하고 그 해결의 주체로서 나아갈 수 있도록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원대는 ‘지속가능발전의 이해’라는 강좌를 필수교양과목으로 지정해 개설했다. SK그룹은 강원대 강의에서 ESG 경영은 물론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사례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해외 유수의 대학들도 경제적 가치(EV)와 사회적 가치(SV)를 동시에 추구하는 SK그룹의 DBL(Double Bottom Line) 경영을 연구사례로 채택한 바 있다.  

스탠퍼드 경영대학원은 2019년 SK의 DBL경영을 사례연구로 채택했다. 2020년에는 하버드 경영대학원이 발간하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BR)’가 SK그룹이 사회성과인센티브(SPC)를 통해 사회적 기업 생태계를 육성하는 과정과 성과를 연구사례로 게재한 바 있다.

조돈현 써니 CLO(Chief Learning Officer)는 “SK그룹의 사회적 가치 추구는 각종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최적의 경영철학”이라며 “SK그룹이 만든 콘텐츠들을 사회 구성원들과 공유해 사회문제 해결에 작은 보탬이라도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