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노조 "쟁의 조정신청 접수"...창사 이래 첫 '파업' 전운

노조 "중노위 조정중지 결정시 파업"...사측 "노조와 진정성 있게 대화할 것"

2022-02-04     서영길 기자
/연합뉴스

[포쓰저널=서영길 기자] 삼성전자 노사가 지난해 9월부터 이어져 온 임금교섭의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노동조합이 쟁의권 확보에 나섰다.  

노조가 실제로 파업에 들어가면 1969년 삼성전자가 설립된 이후 53년 만의 첫 파업이 된다.

삼성전자 4개 노조는 공동교섭단을 꾸려 4일 오후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접수했다.

삼성전자 내 최대 노조인 한국노총 금속노련 산하 전국삼성전자노조 관계자는 4일 “어제 임시대의원대회에서 임급협상 관련 쟁의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논의했다”며 “그 결과 오늘 오후 3시에 중노위에 조정신청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중노위는 조정을 진행하고 노사 간 견해차를 좁힐 수 없다고 판단하면 ‘조정 중지’ 결정을 내린다. 노조는 중노위의 조정 중지와 조합원들의 쟁의행위 찬성 50% 이상 등의 요건을 충족하면 파업·태업·보이콧 등 쟁의 행위를 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게 된다.

삼성전자내 삼성전자사무직노조, 삼성전자구미지부노조, 삼성전자노조동행, 전국삼성전자노조 등 4개의 노조는 공동교섭단을 꾸려 사측과 임금협상을 진행 중이다. 전국삼성전자노조가 5000여명 규모로 가장 커 협상을 주도하고 있다. 나머지 3개 노조는 100명 미만의 조합원을 두고 있다.

전국삼성전자노조 관계자는 “(조정 중지 결정이 나면) 파업으로 간다는 기조는 맞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쟁의 행위에서 파업 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의견도 많다. 조합원이 원하는 건 강력한 파업이 아닌 우리 의사를 사측에 잘 전달하는 게 목적이다. 그에 맞게 움직일 것”이라며 “온라인 시위 등 또다른 단체 행동이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삼성전자 노사는 지난해 9월부터 5개월간 2021년도 임금교섭을 15회에 걸쳐 진행했지만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했다.

노조 측은 전 직원 연봉 1000만원 일괄 인상, 매년 영업이익의 25%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라고 있다.

반면 회사 측은 지난해 3월 임직원 대표로 구성된 노사협의회 협상에서 정한 기존 임금인상분 외에 추가 인상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당시 사내 자율기구인 노사협의회와 협상을 통해 발표한 임금 인상 폭은 기본인상률 4.5%에 성과인상률 3%를 합한 총 7.5%다. 사측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최종안을 지난달 노조 측에 전달했고 노조가 조합원 투표에 부쳤지만 90.7%의 반대로 부결됐다.

노조가 실제 파업에 돌입할 경우 이는 삼성전자 창사 이래 첫 파업으로 기록된다. 다만 파업이 발생하더라도 규모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 내 규모가 가장 큰 전국삼성전자노조도 이 회사 임직원 약 11만4000명의 4% 수준이다. 24시간 가동되는 반도체 사업장의 특성을 감안하더라도 파업의 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중노위 조정 절차에 따라 노조와 계속해서 진정성있게 대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