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장하원 구속영장 신청 이어 김 전 행장 소환
장하성, 김상조 등 文 정부 핵심인사들도 연루
대책위, '윤종원 행장 해임촉구' 등 집회 예정

서울 을지로 기업은행 앞에서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가 진상 규명과 100% 보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서울 을지로 기업은행 앞에서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가 진상 규명과 100% 보상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디스커버리 펀드 환매 불발 사태에 대한 경찰 수사가 관련 주요 인물들로 확대되고 있다.

장하원 디스커버리자산운용 대표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한 데 이어 판매 당시 행장이던 김도진 전 IBK기업은행장을 소환 조사했다.

장 대표의 친형인 장하성 주중국 대사와 김상조 전 정책실장 등 투자자로 거론된 주요 인사들에 대한 조사 여부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10일 오전 디스커버리 펀드 환대 중단 사태와 관련해 김 전 행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펀드 판매 과정에서의 특혜가 의심되는 부분이 있어 조사 중”이라고 했다.

앞서 경찰은  6일 장하원 대표에 대해 펀드의 부실화 가능성을 알고서도 이를 숨긴 채 판매한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상 사기 등)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출시 직후부터 ‘장하성 펀드’로 알려지며 관심을 모은 디스커버리펀드는 미국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설계한 것으로, ‘US 핀테크 글로벌 채권 펀드’, ‘US 부동산 선순위 채권 펀드’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됐다.

2017년 4월부터 시중은행과 증권사를 통해 총 1조1217억원어치가 팔렸다.

이례적으로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이 가장 적극적인 판매 활동을 벌여 6792억원어치를 팔았다.

신한은행 650억원, 하나은행 240억원 등 여타 시중은행에 비해 압도적인 판매고를 기록했다.

펀드 운용사인 미국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이 2019년 4월 갑자기 파산선언과 함께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지난해 4월 말 기준 펀드환매 중단 금액은 2562억원에 달한다.

당시 금융감독원에 접수된 디스커버리펀드 관련 분쟁조정 신청만 96건에 달했다.

환매중단 규모는 기업은행이 글로벌채권펀드 605억원, 부동산담보부채권펀드 156억원 등 총 761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디스커버리펀드가 본격적으로 문제될 시점에 기업은행장에 윤종원 전 경제수석이 낙하산으로 투입되면서 관련 의혹을 키웠다.

윤 행장은 2018년 6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내며 장하성 전 정책실장과 같이 근무한 바 있다. 관료 출신으로 시중은행 경험이 전무한 윤 행장이 기업은행장으로 투입된 배경을 두고 의혹이 무성했다.

디스커버리펀드 피해자들은 이번 경찰의 판단을 반기는 분위기다.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 대책위원회(대책위)는 “지난 1년간 서울경찰청이 치밀하고 조심스럽게 수사를 개시한 점, 오랜 시간 사건 수사에 심혈을 기울여 금융범죄혐의를 밝히는데 주력했다고 알고 있다”며 “이번에 경찰청에서 검경 수사권 조정 이후 첫 번째로 대규모 금융범죄 수사를 개시해 핵심 사안을 밝혀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대책위는 11일 오전 11시 서울 남부지방검찰청 앞에서 장하원 대표의 구속영장 즉각 집행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다.

대책위는 “기자회견을 통해 사기 등 불법혐의를 받고 있는 피의자들에 대해 도주 및 증거인멸 은닉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고, 실체적 진실을 규명을 요구할 예정”이라고 했다.

피해자들은 ‘금융적폐 청산 및 윤종원 기업은행장 해임촉구 거리서명 운동’을 동시에 벌여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