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최정우 포스코 회장(사진 오른쪽)이 1월9일 경북 포항 포스코 스마트공장을 방문해 안전모를 쓰고 있다. /사진=뉴시스

[포쓰저널=성은숙 기자] 외주업체 근로자 질식사, 포스코 직원 크레인 협착사, 염산 누출, 근로자 추락사, 광양제철소 가스 폭발, 포항제철소 대형 화재...

최정우 회장 취임 이후 포스코 작업장에서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반복되는 사고에도 사측의 안전불감증은 여전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최 회장은 취임 후 안전사고 관련 예산을 기존의 두배 수준으로 대폭 늘렸지만,  그 돈이 다 어디갔는 지 모르겠다는 볼멘소리가 터져나온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2018년 1월 발생한 근로자 질식사 사고 이후 안전예산을 기존 5453억원에서 5597억원 증액한 1조 1050억원을 3년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시설물 안전장치 보완에 5114억원, 조직신설과 인력육성에 369억원, 외주사 교육과 감시인 배치 지원에 114억원 등을 사용한다는 계획이었다.

2018년에는 중대재해 예방 시설물 보강에 3400억원을 집행했다. 지난해에는 노후 안전 시설 개선 등에 382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애초 계획대로라면 올해 안전예산은 3830억원이다.

천문학적 비용 투입에도 불구하고 포스코 작업장 내 사고는 또 발생했다.

14일 포항제철소 소둔산세공장 화재사고의 경우 아직 사고원인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은 해당 공장이 대수리중이었다고 전했다. 생산 차질이 없고 불산, 황산 탱크 등에도 이상이 없다고 강조했다.

대수리중이었다는 건 이미 공장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인데, 이런 곳에서 다시 화재사고가 발생한 것 자체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노동조합 측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사측이 명확한 진상규명없이 어물쩍 넘어가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사고 경위 및 원인파악 작업에 근로자 대표를 참여시키는 등 사측의 보다 근본적인 인식전환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대정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금속노동조합 포스코지회 수석부지회장은 "안전사고 현장 조사단에 현장 근로자 등이 포함되는 방향으로 개선돼야 한다"면서 "사측은 인명사고가 없었다며 다행이라고 할 것이 아니라 안전대책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인식하고 해결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했다.

14일 포항제철소 화재는 오후 12시 30분에 최초 신고된 지 2시간여만에 진화됐다. 인명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소둔산세공장 일부가 탔다.

소둔산세공장은 스테인리스 스틸 제품 생산 공정이다. 소둔산세 중 소둔은 내부 응력(변형력) 제거를 위해 적당한 온도로 가열 후 천천히 식히는 공정, 산세는 산성 용액에 담군 후 금속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표면공정이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황산·불산 열연처리를 하는 열처리산세 및 가성소다 탱크·배관쪽에서 화재가 난 것으로 추정된다.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다.

소방당국은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헬기, 소방차, 구조·구급차 등 장비 30여대와 소방인력 384명 등을 동원해 진화작업을 했다. 경찰과 해군 장비도 현장에 투입됐다.

 

14일 화재가 발생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촌동 포스코 포항제철소 소둔산세공장./사진=뉴시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