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원 기업은행장./사진=기업은행

[포쓰저널=김지훈 기자] 취임 후 ‘낙하산 논란’으로 노동조합과 치열한 갈등을 겪었던 윤종원 IBK기업은행장이 재차 시험대에 올랐다.

낙하산 인사라는 오명도 채 벗지못한 윤 행장은 디스커버리펀드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와 관련해 기업은행을 신뢰 위기에서 살려야 하는 과제까지 떠안은 상황이다.

기업은행은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의 ‘US핀테크글로벌채권’ 펀드를 판매했는데 지난해 4월 환매가 중단되면서 투자자들의 자산도 모두 묶이게 됐다.

일부 투자자들은 이미 만기가 지났는데도 수익은 커녕 원금도 돌려받지 못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투자자들은 기업은행이 환매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상품을 판매했고, 10개월 이상 자금 회수에 문제가 없는 것처럼 거짓 장담을 하는 등 불완전판매를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원금 손실 가능성을 제대로 고지하지 않은 채 영업을 했다는 것이다.

피해 금액은 695억원, 피해자들은 198명에 달한다.

설상가상으로 디스커버리 장하원 대표가 장하성 주중국 대사의 동생이고, 윤 행장이 청와대에서 장 대사가 청와대 정책실장 시절 그 밑에서 경제수석으로 근무했다는 점을 두고도 뒷말이 무성하다.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이 신생펀드인 디스커버리의 판매액과 가입자 수에서 모두 1위를 한 것이 드러나면서 의구심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디스커버리의 지난해 기준 사모펀드 순자산 총액기준 순위는 88위로 기업은행 판매 상위 10개 운용사 가운데 가장 작은 규모다. 자산총계 기준(업계 167위·44억원)으로도 규모가 가장 소형이다.

신생 운용사가 대형 금융사들을 죄다 제치고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에서 가장 많은 사모펀드를 판매할 수 있었던 이유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래저래 음모론에 힘이 실리는 상황이다.

논란이 커지자 기업은행은 ‘디스커버리펀드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현황 파악과 대책 마련에 들어갔지만, 의구심은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윤 행장은 급한 대로 피해금액 일부를 먼저 지급하는 쪽으로 생각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투자금 중 일정 부분을 선지급하려는 방안을 논의했지만 관련 법률적 문제가 있어 검토 중이다"고 말했다.

라임펀드 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은행이 잘 알지도 못하는 펀드를 고객에게 판매하는 것 자체가 논란을 잉태하는 행위다.

정치인에서 은행맨으로 옷을 갈아입은 윤 행장이 리더십을 보여야 할 때다. 더이상 소 읽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후속대책을 남발해서는 안 된다.

윤 행장은 디스커버리 펀드가 판매되고 한참 뒤에 기업은행장에 '낙하산 투하' 됐기 때문에 직접적 연관이 없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갖가지 음모론을 극복하고 투자자들의 피해를 최소하는 것은 윤 행장에게 떨어진 과제임에는 분명하다.

그가 이를 순탄하게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적임자인 지 의문을 품은 시선이 많다는 것도 윤 행장이 명심해야할 대목이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