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 AI에 대한 '기업체 인식·실태조사' 결과 공개
AI 영향 가장 큰 분야는 의료·건강..교통·미디어·물류가 뒤 이어
응답 중 3%만 AI 도입..연구개발·인력 양성 지원·규제 개혁 등 필요

/자료=한국개발연구원

[포쓰저널=김유준 기자] 20년 후 인공지능(AI)이 기업의 직무와 인력의 절반 이상을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이런 내용을 담은 'AI에 대한 기업체 인식·실태조사 결과' 보고서를 14일 공개했다.

한국개발연구원은 종업원 수 20인 이상 대기업과 중소기업 500곳씩 총 100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대상 기업들은 AI가 자사의 직무 10%를 대체하는 데 대략 평균 7년 ▲20%는 9년 ▲30%는 11년 ▲50% 이상 대체에는 평균 20년이 소요될 것으로 응답했다.

인력의 경우는 10%를 대체하는 데 대략 평균 8년 ▲20%는 9년 ▲30%는 12.1년 ▲50% 이상에는 20년이 걸릴 것으로 봤다.

응답자의 31.4%는 AI 기술이 미칠 영향이 가장 큰 분야로 의료·건강을 뽑았다. 이어 교통 (19.4%), 통신·미디어(15.3%), 물류·유통과 제조(10.4%) 등으로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AI 기술·솔루션을 도입한 기업은 응답 기업의 3.6%에 그쳤다. 도입 기업의 91.7%는 대기업이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55.6%)과 제조업(36.1%)이 많았다.

AI를 도입한 기업의 50%는 AI를 개발하기 보다 AI 기능을 갖춘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했다.머신러닝(25.0%)과 딥러닝(5.6%) 등 원천 기술보다 사물 인식 등 컴퓨터 비전(47.2%)과 같은 완성형 기술을 많이 활용했다. 적용 분야도 IT 자동화·사이버 보안(44.4%)으로 한정됐다.

AI 기술을 도입한 기업체의 77.8%는 경영·성과에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도입 후 기업 매출액은 평균 4.3%, 인력은 평균 6.8%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이 기업들 중 38.9% 만이 향후 추가로 AI를 도입할 의사가 있었다. AI 기술을 도입하지 않은 기업체의 89%는 향후에도 AI 기술을 도입할 의사가 없다고 했다.

/자료=한국개발연구원

기업들은 AI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연구개발 지원(23.3%)과 AI 인력 양성(21.6%), 데이터 개방 등 AI 인프라 구축(19.8%), 규제 개선·규율 체계 정립(17.5%)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AI 도입에 가장 큰 걸림돌로는 기업 수요에 맞는 AI 기술 및 솔루션 부족(35.8%)을 꼽았다.

AI 도입 시 AI 시스템이 만든 의사결정과 행동의 법적 책임(23.1%)과 AI의 잘못된 의사결정(21.6%)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서중해 KDI 경제정보센터 소장은 "정부는 점진적인 AI 기반 조성 사업을 통해 도입 여력이 없는 중소기업까지 포괄할 수 있는 범용 AI 기술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포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